본문 바로가기

Infra/Ubuntu

(3)
[Kernel] 커널 디렉토리별 용도 안녕하세요. 오늘은 서버의 커널에서 디렉터리 별 용도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/ - 루트 디렉토리 - 최상위 디렉토리이며, 파티션 설정시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디렉토리 - 절대 경로의 기준이 되는 디렉토리 2. /root - 루트 유저를 위한 홈 디렉토리이다.(루트 유저는 시스템을 책임지는 슈퍼 유저이다.) 3. /boot - 리눅스가 부팅할 때 이 디렉토리를 먼저 읽는다 - 리눅스 커널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로서 부팅에 필요한 부팅 자원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. - 부트로더 설치 장소 4. /usr(사용자 디렉토리) -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있는 곳 - 시스템에 사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디렉토리이다. - 패키지를 설치할 때 파일 대부분이 이 디렉토리에 설치된다...
[Ubuntu] ubuntu 20.04 Netplan Dhcp, Static 설정 안녕하세요. 이번 게시물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에 대해서 게시하도록 하겠습니다. ubuntu 18.04부터 이전 버전과 가장 큰 차이점은 네트워크 설정방법의 변경입니다. 해당 바뀐 방식에 대해서 dhcp 방식과 static 방식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 기준 : ubuntu 20.04 18.04 이전 네트워크 설정 파일 위치 : vi /etc/network/interfaces 18.04(포함) 이후 네트워크 설정 파일 위치 : vi /etc/netplan/*.yaml 현재 ip가 정상적으로 세팅되어있는지 확인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의 두 가지 방법입니다. #방법1 ifconfig #방법2 ip a * 주의사항 대문자 및 소문자를 구분해줘야합니다. 각 줄마다 들여쓰기가 ..
[Ubuntu] ubuntu 20.04 hostname 변경 및 조회 방법 안녕하세요. 이번 게시물은 서버에서 hostname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기준 : Ubuntu 20.04 1. 서버 hostname 확인 방법 먼저 현재 서버의 hostname을 알아보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. 아래와 같이 3개의 명령어를 서버에 입력하면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#첫번째 방법 hostname #두번째 방법 cat /etc/hostname 2. 서버 hostname 변경방법(재시작) 밑의 명령어를 통해서 hostname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에서 본인이 원하는 서버 명을 입력하고 저장 후 나와주면 됩니다. 그리고 서버를 재시작 하면 본인이 설정한 hostname이 설정한 걸 볼 수 있습니다. #첫 번째 sudo vi /etc/hostname #본인이 설정한 hos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