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 (35) 썸네일형 리스트형 [Kernel] 커널 디렉토리별 용도 안녕하세요. 오늘은 서버의 커널에서 디렉터리 별 용도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/ - 루트 디렉토리 - 최상위 디렉토리이며, 파티션 설정시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디렉토리 - 절대 경로의 기준이 되는 디렉토리 2. /root - 루트 유저를 위한 홈 디렉토리이다.(루트 유저는 시스템을 책임지는 슈퍼 유저이다.) 3. /boot - 리눅스가 부팅할 때 이 디렉토리를 먼저 읽는다 - 리눅스 커널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로서 부팅에 필요한 부팅 자원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. - 부트로더 설치 장소 4. /usr(사용자 디렉토리) -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있는 곳 - 시스템에 사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디렉토리이다. - 패키지를 설치할 때 파일 대부분이 이 디렉토리에 설치된다... [Elasticsearch] Query Dsl 안녕하세요. 오늘은 Query Dsl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Query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해당 부분을 본 후에는 Elasticsearch 검색 쿼리를 작성할 때 매핑된 타입 값에 따라서 해당 부분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 Query는 크게 세가지로 나눠질 수 있습니다. 1. Query Context - 정의 : Full text search를 의미하며, 검색어가 문서의 얼마나 매칭 되는지를 표현하여 hit score라는 값을 가진다. ex) 도서관에서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가장 비슷한 책을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- 쿼리(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만 예시 쿼리를 써놨습니다.) match : 검색어로 들어온 문자열을 analyzer로 분석 후 해당 토큰.. [Docker] Elasticsearch 단일 노드 컨테이너 구축하기. 안녕하세요. 오늘은 윈도우 데스크톱에 구축한 WSL2 서버에 elasticsearch 단일 클러스터 노드를 간단하게 동작시켜보겠습니다. 도커 이미지란? 이미지는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필요한 요소이며, VM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iso 파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또한, 이미지는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할 때 읽기 전용으로 사용된다. 결론적으로,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서 컨테이너를 생성하면 해당 이미지의 목적에 맞는 파일이 들어있는 파일 시스템과 격리된 시스템 자원 및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독립된 공간이 생성됩니다. 아래의 명령어들은 서버에서 해당 명령어를 통해서 현재 존재하는 컨테이너 또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#현재 존재하는 전체 컨테이너 확인하기 docker ps -a #현재 동작하고 .. [Elasticsearch] WSL2 서버에 elasticsearch 설치하기 안녕하세요. 이번에는 WINDOW WSL2에 elasticsearch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일단 기본적으로 돌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 통신, 고정 ip 세팅 등등은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 https://www.elastic.co/kr/downloads/past-releases/elasticsearch-7-12-1 먼저 위의 사이트에서 elasticsearch 7.12.1 버전을 윈도우에 설치해줍니다. elasticsearch-7.x.x 본인이 원하는 버전이 있으면 해당 버전을 입력해주면 됩니다. ** 여기서 주의해야할 사항은 elasticsearch를 윈도우에 설치가 아닌 서버에 설치해줄 것이기 때문에 저는 .deb 파일을 설치할 것입니다. 그래서 해당 파일을 서버의 디렉터.. [Window10] WSL2 서버 윈도우 폴더 안녕하세요. 지금까지 wsl 또는 wsl2를 설치하셨을겁니다. 해당 서버를 운영하거나 연습하다보면 어떻게 하면 파일을 옮길 수 있을까? 고민이 생기실 겁니다. 그럴 경우 쉽게 해당 윈도우에서 본인 wsl의 디렉토리로 갈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 일단 파일탐색기를 켭니다. 그리고 아래 사진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 후 엔터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. 사진 1을 실행하면 위의 사진2처럼 디렉토리가 나옵니다. 저는 Ubuntu-20.04를 클릭 하겠습니다. 그럼 기본 서버의 디렉토리가 위의 사진3처럼 나옵니다. 여기서 /home/"본인의 디렉토리" 로 이동하셔서 파일을 옮기거나 가지고 오실 수 있습니다. [Window10] WSL2 docker설치하기. 안녕하세요. WSL2에 docker 컨테이너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docker desktop wsl2 윈도우 버전을 설치합니다. -> https://hub.docker.com/editions/community/docker-ce-desktop-windows/ 저는 위의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았습니다. 아래의 사진처럼 따라하시면 됩니다. 설치1에 대한 부연 설명 : 저상태로 Ok를 클릭하시면 설치가 진행됩니다. 설치2에 대한 부연 설명 : 여기서 컴퓨터가 로그아웃을 하기때문에 그 전에 미리 저장해야할 것이 있으면 저장해주세요 설치3에 대한 부연 설명 : Accept 클릭하시면 됩니다. 설치4에 대한 부연 설명 : 현재 설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설치5에 대한 부연 설명 : settings는 상.. /usr/share/elasticsearch/bin/elasticsearch-env: line 71: /etc/default/elasticsearch: Permission denied [fail] 안녕하세요. elasticsearch 버전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다보면 제목과 같은 이슈가 발생할 때 있습니다. 해당 이슈는 간단하게 디렉토리 권한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며 아래 해결책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. chown으로 디렉토리 권한을 변경시켰습니다. 또한 -R 옵션을 통해서 해당디렉토리의 하위에 있는 전체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해서도 같은 권한을 준다라는 뜻으로 보면 됩니다. sudo chown -R elasticsearch:elasticsearch /etc/default/elasticsearch [Baekjoon] 백준 C++ 16235 나무재테크 #사람마다 푼 방법이 다릅니다. 아 이런 코드도 있구나라는 생각만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제 코드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놔 주시면 참고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!!! 하지만!!! 무분별한 비난은 삼가 주세요! 해당 문제는 처음 생각해보면 어렵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. 저는 구조체를 선언한 후 4개의 queue를 생성해서 문제를 풀었습니다. 1. tree : 나무 전체를 관리할 queue 2. temp_tree : 해당 queue가 필요한 이유는 새로 생성된 tree를 먼저 tree queue에 먼저 넣기 위해서 임시 보관용으로 3. new_tree : 기존에 있던 나무들이 번식한 후 넣어지게 되는 tree입니다. 지금 생각해보니 굳이 해당 q.. 이전 1 2 3 4 5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