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이번에는 WINDOW WSL2에 elasticsearch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일단 기본적으로 돌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 통신, 고정 ip 세팅 등등은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
https://www.elastic.co/kr/downloads/past-releases/elasticsearch-7-12-1
먼저 위의 사이트에서 elasticsearch 7.12.1 버전을 윈도우에 설치해줍니다. elasticsearch-7.x.x 본인이 원하는 버전이 있으면 해당 버전을 입력해주면 됩니다.
** 여기서 주의해야할 사항은 elasticsearch를 윈도우에 설치가 아닌 서버에 설치해줄 것이기 때문에 저는 .deb 파일을 설치할 것입니다. 그래서 해당 파일을 서버의 디렉터리로 옮겨봤습니다.
아래의 명령어를 통해서 elasticsearch를 WSL2에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dpkg -i elasticsearch-7.12.1-amd64.deb
아래는 서버에 설치된 것을 확인했습니다.
/etc/elasticsearch/elasticsearch.yml 파일입니다. network.host는 기본적으로 ip로 세팅해도 되며, 저는 기본적인 예제이기 때문에 localhost로 세팅했습니다. 해당 테스트 후 ip로 세팅해도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부분을 확인했습니다.
ip는 본인 윈도우 pc의 ip가 아닌 WSL2에서 서버에서 eth0의 주소입니다.!!!!!!!!!!!!!!
cluster.name: test_cluster
node.name: node_001
#노드의 역할
node.roles: [data, master, ingest]
#본인 wsl의 ip입력해도 됩니다!
network.host: localhost
http.port: 9200
transport.tcp.port: 9300
cluster.initial_master_nodes:
- node_001
#elasticsearch 간편 플러그인 head나 등등을 보기 위한 설정
http.cors.enabled: true
http.cors.allow-origin: "*"
#모니터링을 위한 설정입니다.
xpack.monitoring.enabled: true
xpack.monitoring.collection.enabled: true
#이 세팅은 추후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
indices.fielddata.cache.size: 70%
elasticsearch를 시작합니다.
service elasticsearch restart
아래 사진처럼 elasticsearch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을 확인했습니다. 위에서 언급했듯이 ip로 network.host 세팅 후 실행해도 동일하게 실행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
'Elk Stack > Elasticsear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lasticsearch] Query Dsl (0) | 2021.11.04 |
---|---|
[Elasticsearch] 텍스트 분석 (0) | 2021.08.06 |
[Elasticsearch] 형태소 분석기 Nori 간단 설치 및 적용(2/2) (0) | 2021.08.04 |
[Elasticsearch] 형태소 분석기 Nori 간단 설치 및 적용(1/2) (0) | 2021.08.02 |
[Elasticsearch] elasticsearch.yml 파일 세팅 및 필수 세팅 추천 (0) | 2021.07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