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fra/Ubuntu

[Kernel] 커널 디렉토리별 용도

freedommmm 2021. 11. 10. 07:25

안녕하세요. 오늘은 서버의 커널에서 디렉터리 별 용도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1. / - 루트 디렉토리
- 최상위 디렉토리이며, 파티션 설정시 반드시 존재해야 하는 디렉토리
- 절대 경로의 기준이 되는 디렉토리


2. /root 
- 루트 유저를 위한 홈 디렉토리이다.(루트 유저는 시스템을 책임지는 슈퍼 유저이다.) 


3. /boot
- 리눅스가 부팅할 때 이 디렉토리를 먼저 읽는다
- 리눅스 커널이 저장되어 있는 디렉토리로서 부팅에 필요한 부팅 자원 파일들이 저장되어 있다.
- 부트로더 설치 장소


4. /usr(사용자 디렉토리)
- 다양한 응용 프로그램들이 설치되어 있는 곳
- 시스템에 사용되는 응용프로그램이 설치되는 디렉토리이다.
- 패키지를 설치할 때 파일 대부분이 이 디렉토리에 설치된다.


5. /usr/local
- 새로운 프로그램들이 설치되는 곳(windows program file과 유사)


6. /usr/bin
- 리눅스 시스템에 사용되는 각종 프로그램들이 저장되어 있으며 /bin 디렉토리에 없는 다양한 실행 파일들이 저장되어 있다.


7. /tmp(임시 디렉토리)
- 프로세스 진행 과정에서 발생하는 임시 파일을 저장하는 디렉토리
- 시스템 재 구동시 모두 삭제된다. 파일이 수시로 생성되었다 사라진다.


8. /var(가변 자료 저장 디렉토리)
- 시스템에서 사용되는 데이터들이 저장된다. 또한, 각종 시스템 로그파일이 존재한다.
- 해당 디렉토리는 수시로 변경될 수 있다.


9. /home
- 계정별 디렉토리 생성. 사용자들만이 사용할 수 있는 독립적인 공간


10. /bin
- 리눅스에서 가장 기본이 되는 명령어들이 모여있는 디렉토리이다.
- ex) mv, cp, rm 등과 같은 명령어들이 존재한다.


11. /sbin
- 시스템 관리용 실행 파일들이 들어 있다.


12. /lib
- 프로그램들의 각종 라이브러리들이 존재한다.


13. /proc
- 프로세스 디렉토리이며, 모든 프로세스들이 파일 형태로 존재한다.
- 시스템에 대한 정보를 제공하는 파일들이며 메모리 상에 존재해서 가상 파일 시스템이라고 부른다.
- 커널의 기능을 제어 가능하다. 쓰기 가능한 파일에 특정값을 지정하면 커널 기능을 조작가능.


14. /proc/cpuinfo
- 프로세스의 정보를 저장하고 있는 파일이다. cpu의 타입, 모델, 등을 제공한다.


15. /proc/devices
- 현재 커널에 설정되어있는 장치들에 대한 정보를 저장하고 있다.


16. /proc/filesystem
- 파일시스템에 대한 정보를 저장하고 있는 파일이다.


17. /proc/ioports
- 현재 사용중인 I/O 포트에 대한 정보를 저장하고 있다.


18. /proc/kmsg
- 커널에 의해서 출력되는 메세지들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다. 해당 메시지는 syslog에도 저장된다.


19. /dev(디바이스 디렉토리)
- 시스템의 각종 디바이스들에 접근하기 위한 디바이스 드라이버들이 저장되어 있다.
- /dev/sda, cd-rom, /dev/cdrom 등과 같은 장치 파일들이 존재한다.


20. /dev/null
- 이 디렉토리는 블랙홀이라고도 불린다. 이 장치로 데이터를 보내면 폐기된다.


21. /dev/sda
- 서버용 디스크인 SCSI 하드 디스크를 장착했다면 /dev/sda 등 추가적으로 /dev/sdb, 이런 식으로 장치를 바탕으로 접근할 수 있다.


22. /etc
- 시스템 설정 파일 디렉토리이며, 없어서는 안 될 디렉토리이다.
- 시스템에 관한 각종 환경 설정에 연관된 파일들과 디렉토리들을 가진 디렉토리이다.


23. /mnt
- 이동장치를 마운트 하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디렉토리이다.